이번 강의는... 정말 별게 없습니다. 단지 네이버 지역 검색 API로 앱을 등록해서 httpClient 로서 호출해보는 내용 뿐입니다.
이전 강의와 마찬가지로 역시 트러블슈팅이 어느정도의 부분을 차지하고 있으며, 쿼리 패러미터의 인코딩에 대부분의 시간을 소요합니다. 별도의 인코딩이 필요없고, URIComponentsBuilder 의 encoding() 만 잘 설정해주면 됩니다.
부스터샷을 맞은 다음날이라 약간 열기운이 있을랑말랑 해서 오늘은 쉬어가는걸로 실습을 간단하게 구경만 해보기로 하려고 했는데, JUnit 단원에서 뭘 하는지 궁금해서 미리 좀 봐두기로 했습니다. 다만 오늘 제대로 공부하는 건 무리고, 그냥 영상만 훑어보려구요. 이미 JUnit 4를 써보기도 했구요.
JUnit
<1> JUnit 이란 - 먼저 계산기 예시로 어떻게 하는지 보여줍니다. mockito 모킹 프레임워크도 사용하네요.
- @Mock 으로 필드를 장식합니다.
- JUnit 의 @BeforeEach 로 정의한 init용 함수에서
Mockito.lenient().when(필드.함수호출()).thenReturn(반환값); 으로 흉내냅니다.
1장에서 바로 Mockito 모킹 프레임워크의 사용법을 보여주는 걸로 봐서 다음에 이어질 CRUD 테스트에서도 모킹을 쓸 모양입니다. 개인적으로 CRUD 테스트를 어떻게 할지 너무 궁금했었거든요. 테스트도 코드니까요... 유지보수의 대상이라는 뜻이죠. 테스트 코드는 커버리지는 넓고 내용은 적을수록 좋지 않겠어요? 테스트를 위한 테스트를 하지 않으려면 어떻게 해야할지를 다음 강의에 알려주겠죠? 기대해도 되려나요?
본 포스팅은 패스트캠퍼스 환급 챌린지 참여를 위해 작성되었습니다.
패스트캠퍼스: https://bit.ly/37BpXiC
#패스트캠퍼스 #패캠챌린지 #직장인인강 #직장인자기계발 #패스트캠퍼스후기 #한번에끝내는JavaSpring웹개발마스터초격차패키지Online
진도더나가으아안돼쉬어
'FastCampus - 한번에 끝내는 Java|Spring 웹 개발 > 03 스프링 입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프링 Ch 9 Swagger/OpenAPI - 패스트캠퍼스 챌린지 15일차 (0) | 2022.02.07 |
---|---|
스프링 Ch 8-2~3 Spring 테스트 - 패스트캠퍼스 챌린지 14일차 (0) | 2022.02.06 |
스프링 Ch 7 Spring as client - 패스트캠퍼스 챌린지 12일차 (0) | 2022.02.04 |
스프링 Ch 6-5 Filter / Interceptor - 패스트캠퍼스 챌린지 11일차 (0) | 2022.02.03 |
스프링 Ch 6-3 Exception 처리 + alpha - 패스트캠퍼스 챌린지 10일차 (0) | 2022.02.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