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astCampus - 한번에 끝내는 Java|Spring 웹 개발/03 스프링 입문

스프링 Ch 04 스프링 부트 시작하기 - 패스트캠퍼스 챌린지 3일차

sftblw-chan 2022. 1. 26. 23:18

오늘은 나쁜 어른이었습니다. 어제 드디어 VR을 할 수 있는 환경을 마련해서 운동삼아 2주만에 VR을 켜려고 했더니 웬걸 충전이 안 되는 무한부팅 상태에 빠져버렸더라구요. 그래서 늦게 자는 바람에...

파트 3. 스프링 입문 중 챕터 04 "스프링 부트 시작하기" 를 쭉 달렸습니다. 이전에 좀 배워본 것도 있고 일에서 봤던 것도 있고 해서 솔직히 그냥 달려도 크게 문제는 없었어요. 다만 사용방법을 체계적으로 정리한 적은 없다보니 API 핸들러를 어떻게 작성하는지에 대한 절차나 주요 어노테이션을 빠르게 오버뷰하는데는 도움이 되었습니다.

용어 설명이 좀 빠져있는 건 아쉬웠습니다. 눈에 띄더라구요.

영상 내내 DTO에 대한 얘기가 나오는데, 이게 무슨 용어인지는 설명을 안 해주더라구요. 아파 앞의 두 개 챕터를 뛰어넘어서 그런가봅니다. 뭐 저야 알고있기는 한데... Data Transfer Object 를 말하는 거니까요. 이전에 궁금해서 비슷한 개념인 Bean 에 대해서 찾아본 적이 있으니까요. 뭐 지금 와서는 POJO나 Bean 이나 DTO나 코드상으로는 그게 그거라는 걸 알고있지만요 (DTO는 코드는 똑같아도 용도가 좀 다름).

중요한 어노테이션

  • 클래스에 다는 어노테이션
    • @RestController (API 스타일) / @Controller (html 반환 스타일)
    • @RequestMapping("/api") - 거의 필수요소로 들어가던데 이름만 보곤 용도를 잊을듯. 부모경로를 지정하는 용도 같네요
  • 메서드에 다는 어노테이션
    • @[HTTP메서드]Mapping("/경로/{경로를_변수로}")
      PathVariable PathVariable 노래를 하시더니 이게 그거더라구요. 뭐 알아듣기야 해야겠지만 별로 마음에 들지는 않는 용어입니다.
  • 패러미터에 다는 어노테이션
    • @RequestParam
    • @RequestBody
  • DTO는 POJO / Beans 스타일로 Getter / Setter 랑 기본 생성자가 모두 정의되어 있어야 합니다.
    (lombok 결국 이름언급만 하고 끝남 ㅋㅋ 저도 회사에서 들어봐서 알지 아니었으면...)

강의에서 오브젝트 매퍼가 굉장히 강조되고 있더라구요. 처음 보는 사람들은 오브젝트 매퍼는 스프링 부트에 같이 딸려와서 그렇지 스프링의 일부는 아닌데 마치 스프링의 일부처럼 보일 거 같다는 생각이 들더라구요. Jackson이야 GSON이야? 정답은 Jackson이었습니다~ 저는 코드베이스에서 패키지 하나는 Jackson을 쓰고 나머지 하나는 GSON 을 쓰고 하는 두 개가 참조관계에 있는 걸 봐서요... 으악...

본 포스팅은 패스트캠퍼스 환급 챌린지 참여를 위해 작성되었습니다.
패스트캠퍼스: https://bit.ly/37BpXiC

#패스트캠퍼스 #패캠챌린지 #직장인인강 #직장인자기계발 #패스트캠퍼스후기 #한번에끝내는JavaSpring웹개발마스터초격차패키지Online

2배속으로 달리는데 두 시간이나 들어버렸습니다. 아침이었으면 못 했을거고... 4배속이 왜 없는지...

제가 학습할 때 원리이해나 왜 그런지에 중점을 둬서 그런지 강의가 그런 면을 제외하고는 주의할 점도 잘 정리되어 나오는데도 불구하고 살짝 아쉽

04 Spring Boot HelloWorld.pdf
2.91MB

위의 노트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