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57) 썸네일형 리스트형 스프링 Ch03 웹 개발 개론 4 (2회차) - 패스트캠퍼스 챌린지 2일차 이번에도 복습입니다. 이게 그냥 보고 슥 넘어가면 빨랐는데 손수 하나하나 정리하려니 시간 소요가 좀 크더라구요. 오늘도 늦잠... 치고는 평소보다는 일찍 일어났지만 (짝짝짝짝~) 그래도 목표한 것보다는 늦잠을 잔지라 강의를 두 개 보기에는 무리였습니다. 좀 있으면 출근준비해야돼... HTTP 프로토콜에 대해 간략하게 다루는 내용이었습니다. GET POST PUT DELETE가 가장 중요하고 그거 위주로 설명을 해주시는데, 리스트에 PATCH 가 빠져있더라구요? MDN에는 있던데. 그리고 표에 몇몇 내용이 빠져있던데.... 일단 PATCH 가 빠져있는 건 의도하신 거 같구요 (혼동을 유발할 수 있고 잘 모르지만 아마 잘 안 쓰일듯) 나머지는 진짜 이런 게 있다 정도만 알아두면 되지 않을까 싶구요? HTTP.. 스프링 Ch03 웹 개발 개론 3 (2회차) - 패스트캠퍼스 챌린지 1일차 오늘부터 실제 챌린지에 참여입니다. 1일차네요. 구매 후 챌린지 시작까지의 2주간의 시간동안은 예행연습 삼아 미리 수강을 진행했었는데요, 많은 날짜를 빼먹기도 하고 그랬지만 일단 일찍 자고 일찍 일어나는 차칸어르니가 되자는 목표는 부분적으로 달성한 듯 하네요. 일 하고 돌아와서 수강하기는 어려운데다, 그 시점엔 유혹이 너무 많거든요. 다만 학습하는 내용은 훅-하고 넘겨봤던 내용들의 복습이 되겠습니다. 아무래도 같은 분야는 아니지만 어느정도 접해본 적이 있는 주제인지라 REST나 좋은 URI/URL 설계의 중요성은 통감하고 있습니다. 다만 앞선 강의였던 REST에서 불완전하게 이해한 부분들은 다른 시간대로 학습을 넘겨야 할 것 같습니다. 오늘은 차칸어르니 계획에서 일찍 일어나기는 절반 정도만 성공했는데, .. 스프링 Ch03 웹 개발 개론 1-2 (2회차) 웹 개발 개론 웹 이란 www? 전세계에 연결된 인터넷 공간 web의 용도? 웹사이트 / API (비공개도 있음) / UI 기본 3가지 요소 URI - "Uniform Resource Identifier" HTTP HTML "REST" 주 업무: REST API 제공 / REST API 만들기 -> REST 규약을 지켜야 REST REpresentational State Transfer 논문이었던 걸로 기억하는데... 뭔 180페이지 짜리야... 박사학위 논문이라고 함. [PDF] s/o: "보통은 HTTP에 구현하지만 프로토콜과는 독립적인 아키텍처 스타일이다" REST의 6가지 조건 (거의 위키백과 내용을 수정한 듯) Client / Server 구조 - 이 둘이 서로 독립, 서로 개별적으로 발전할 수.. 스프링 Ch03 웹 개발 개론 1-4 (1회차) 호기심이 동해서 파트 3의 3챕터 웹개발 개론을 봤습니다. 두 세번 봐야할 것 같네요 이번엔 그냥 눈으로 보기만 했는데, 잘 정리해서 익혀둬야 할 부분들이 있는 것 같습니다. REST API 및 URI 설계 원칙 URI vs URL 멱등성(Idempotency) 에 대한 내용도 나오네요. 이거 옛날에 다른 강의 보고 여기저기 찾아보고 했는데말이죠... HTTP 코드 (외워둘 필요가 있는듯) RFC 3986 하고 다른 RFC 하나에 대한 언급이 있었음 전체적으로 지식에 구멍이 숭숭 나있는 모양입니다. Java 04-06 4강 - 컴퓨터의 메모리는 8비트로 구성되어 있다, 비트를 리터럴(*리터럴이라는 표현은 사용하지 않았음)로 어떻게 나타내느냐 같은 걸 설명해주셨는데 꽤나 호로록 하고 넘어가서 그런지 학교에서 배우는 것의 마이너 버전이라는 생각이 들더군요. (저야 학교 시험 때 프로그래밍 언어의 구성요소로 리터럴/키워드(예약어)/구분자(separator)... 같은 걸 외우기까지 했으니까요... 다 까먹었네요. 나머지로는 식별자(identifier)/연산자 가 있는 것 같습니다.) 이걸 처음 배우는 사람들이 이해할까??? 라는 생각도 해봤는데, 좀 약간 모호하게 받아들일 것 같네요. 학교에서는 메모리가 어느 단계에 있는 저장공간인지도 얘기해주니까 전체적인 맥락 안에서 파악할 수 있는데 여기에서는 비트! 하고 끝나는 느낌이.. Java 01-03 이클립스 멈춰! (멈춰!) Java는 어쩌다 보니 가르쳐본 적도 있지만, 학교에서 배우는 것과는 또 다르지 않을까 해서 빠르게 훑어보고 넘어가려고 합니다. 강의처의 이벤트 개시일은 좀 남았으니까 그 전에 앞 부분을 교양 느낌으루다가 다 보면 되지 않을까 싶네요. 이미 다 아는 내용이다보니 (1) 놓친 부분이 있는지 (2) 전문 교육자는 학교와는 어떻게 다르게 가르치는지 (3) 미리 습관을 만들어두기 같은 부분에 초점을 두면 되겠다 싶겠습니다. 솔직히 잠온다... 재밌는 부분들 처음 배우는 사람들이 저 설명으로 네이티브와 VM 언어의 차이점을 이해할까??? 코드 짜는 걸 배우려는 사람들이 컴퓨터에 대해서 얼마나 잘 알고 있을까?? 에 대한 질문을 먼저 해야하지 않을까요?? 패키지 탐색기를 잃어버린 초보자들.. Main see https://sftblw-learn.tistory.com/notice/1 이전 1 ··· 3 4 5 6 다음